실습64: docker로 Rstudio 실행하기(실습실 컴퓨터)
ref: https://rocker-project.org/
-
다커실행파일 다운로드
-
docker 이미지 다운로드
방법1
docker pull rocker/rstudio
방법2
- 사실 잘 몰라요 ㅎㅎ
-
다운받은 이미지 확인하기
방법1
docker images
방법2
- GUI
-
이미지에서 컨테이너생성 (컨테이너는 인스턴스라고 생각하자..)
방법1
docker run -ti -e PASSWORD="jbnu" -p 8787:8787 rocker/rstudio
방법2
- GUI
rocker/rstudio
이게 이미지
비밀번호는 큰 따옴표로 하거나 아예 안 쓰기
이미지는 python의 class
컨테이너는 python의 함수
docker run: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명령어.
-ti: 터미널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옵션으로, 이 옵션을 사용하면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.
-e PASSWORD=“jbnu”: 컨테이너 내부에서 사용할 RStudio Server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. 이 예제에서는 “jbnu”로 비밀번호를 설정했습니다.
-p 8787:8787: 호스트 머신의 8787 포트를 컨테이너의 8787 포트와 연결하는 옵션입니다. RStudio Server는 기본적으로 8787 포트에서 실행됩니다.
rocker/rstudio: Docker 이미지의 이름입니다. rocker는 R언어 및 RStudio를 설치하고 설정한 이미지입니다.
docker ps -a
실행했던 ( 과거의 히스토리까지) 모든 결과 보여줌
docker ps
현재 실행하는 컨테이너 보여줌
docker images
현재 있는 이미지 보여줌
이미지의 컨테이너에 들어가서 r 작업하면
컨테이너 꺼도 다시 시작하면 히스토리가 남아있음
–> 이 말은 컨테이너 끄고 컨테이너 삭제해야 이미지도 삭제할 수 있다는 뜻
어떻게 돌아가느냐 - 컨테이너에 패키지 다 설치해서 그걸 share 해 그 share 한 공간에서 추가 패키지 설치하든 알아서 사용 가능
-
Rstudio 사용
실습65: docker로 ubuntu 실행하기(실습실 컴퓨터)
-
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
docker pull ubuntu
-
실행
docker run -ti -d -t ubuntu /bin/bash
docker exec -ti {넣고 싶은 name 쓰기} bash
실습65: docker로 ubuntu 실행하기 (183컴퓨터)
-
우분투안에서 우분투 실행
docker run -ti -d -t -p ?????:????? --name guebin ubuntu /bin/bash
docker exec -ti guebin bash
-
아래를 수행
passwd root
apt update
apt install gcc
apt install build-essential
apt install vim
실습66: 코드스페이스 사용하기
-
아래를 이용하여 코드스페이스 설치
apt-get install curl
curl -Lk '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sha/download?build=stable&os=cli-alpine-x64' --output vscode_cli.tar.gz
tar -xf vscode_cli.tar.gz
-
아래를 이용하여 초기설정
./code tunnel
- 컴퓨터 이름 잘 써야해요…
- 외워야 하는 이름이에요..
두 개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여기서 Github Account 선택하고 터미널에서 나온 코드 입력
-
코드스페이스 평생켜놓기
nohup ./code tunnel > /dev/null 2>&1 &
-
코드스페이스의 장점
- 별도의 포트를 먹지 않는다.
- 하나의 창에서 모든 가상환경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. <– 제가 이거때문에 씁니당..
- 보안접속이 가능하다.
실습67: Rstudio 사용하기
-
아래를 이용하여 Rstudio를 설치 (base환경인지 r환경인지는 무의미)
sudo apt-get install gdebi-core
wget https://download2.rstudio.org/server/jammy/amd64/rstudio-server-2022.12.0-353-amd64.deb
sudo gdebi rstudio-server-2022.12.0-353-amd64.deb
-
grst
가 만든 rstudio-server-conda
를 클론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grst/rstudio-server-conda.git
local
파일 들어가서
start_rstudio_server.sh
를 vi
로 보기
--www-port=$1 \
를
--www-port=8888
원하는 주소로 설정
그 밑에
--auth-minimum-user-id=0
추가
-
내용을 수정
{.bash filename= "~/rstudio-server-conda/local/start_rstudio_server.sh"} ... blalba ... /usr/lib/rstudio-server/bin/rserver --server-daemonize=0 \ --www-port=????? \ ### <--- 여기 수정!!!!! --auth-minimum-user-id=0 \ ### <--- 여기 추가!!!!! --secure-cookie-key-file=$COOKIE_KEY_PATH \ --server-pid-file="$CWD/rstudio-server.pid" \ --server-data-dir="$CWD/rstudio-server" \ --rsession-which-r=$(which R) \ --rsession-ld-library-path=$CONDA_PREFIX/lib \ --rsession-path="$CWD/rsession.sh" \ --server-user $USER \ --database-config-file "$CWD/database.conf" \ $REVOCATION_LIST_PAR
-
start_rstudio_server.sh
를 실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