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율주행차에서 트롤리의 딜레마(MIT)
Trolley Dilemma
가정, 빠른 속도의 차를 타고 있는데 차 안에는 세명이 있다, 행인도 3명이 있다. 행인은 노인이며, 차 안에는 젊은 사람이 타고 있다. 행인을 치고가거나 차가 낭떠러지에 떨어지는 두 가지 경우밖에 없다면, 어떤 식으로 AI 가 반응해야 올바른 결정이냐? 이 결과가 나라마다 다르다.
- 노인을 구해야 한다.
- 1위 대만 2위 중국 3위 한국 4위 일본
- 노인이 희생하더라도 치고 지나가야 한다.
- 1위 프랑스 2위 그리스 3위 캐나다 4위 영국
빠른 속도의 차를 타고 있는데 차 안에는 세명이 있다, 행인도 3명이 있다. 행인을 치고가거나 차가 낭떠러지에 떨어지는 두 가지 경우밖에 없다면, 어떤 식으로 AI 가 반응해야 올바른 결정이냐?
- 길 건너가는 사람 지켜야 한다, 내가 죽더라도
- 1위 일본 2위 노르웨이 3위 싱가폴 4위 덴마크 5위 폴란드
- 행인을 치고 가야 한다.
- 1위 중국 2위 에디오피이 3위 대만 4위 프랑스
차가 달리는데 행인이 5명이 있다. 계속 달리면 5명이 죽는데 차를 꺾으면 5명을 살리고 엉뚱한 1명이 죽는다.차를 꺾어야 하느냐? 아니냐?
- 차를 돌리더라도 엉뚱한 사람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.희생자 줄이는게 중요하다
- 1위 프랑스 2위 이스라엘 3위 영국 4위 캐나다 5위 미국
- 억울한 죽음은 안 된다. 차를 돌리지 말아야 한다.
- 1위 일본 2위 대만 3위 중국 4위 한국
Note: 나라마다 윤리적 관점이 달라지면, 어느 나라에서 자율주행차를 사느냐에 따라 어떤 사람이 죽을지 달라진다는 것일까, 인공지능의 윤리에 답은 없는 것 같다.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시점.